한국항공대학교

교육 과정

home 교육 과정 교과목 해설
교과목명 교과목설명
결정구조론 결정기하학에 관한 결정계, Bravis 격자, 대칭성을 연구하고 X-ray에 관한 실험 방법들과 특징들을 강의한다. 
공업수학 재료공학에서 필요한 상미분방정식과 벡터를 다룸으로서 수학적 개념을 공업적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광학 재료공학 연관분야에서 주로 요구되는 주요 광학현상을 집중적으로 습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LED, 태양전지, 레이저 등의 실제 광소자 및 광학 시스템의 작동 및 구현방식에 관한 응용지식의 확보에 도움을 주고자 함.
광학재료 유전체, 금속, 반도체 등의 고체상 소재와 관련된 광학현상의 기초를 소자응용 관점에서 설명함. 또한 LED, laser diode, 태양전지 등의 각종 광소자의 작동원리 및 현황을 소개함. 
글로벌 신소재연구실습 국내외 산업현장 또는 기관에서 협약에 따라, 현장교육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학점을 인정하는 제도로써, 대학에서 교수한 지식과 학문을 기관, 단체, 연구소, 산업체 등에서 학생들이 실무를 통해 적용능력을 부여하고자 함.
금속조직학 합금의 조성과 온도에 따른 상변화의 기초이론과 상변화에 따른 조직과 물리적, 기계적 성질에 대해 강의한다.
나노소재개론 나노 기술의 개발 필요성을 설명하고, 3차원 소재로부터 2차원/1차원 소재로 이동함에 따른 물리적 법칙의 이동을 이해한다. 또한 나노 소재 합성 및 나노소재의 전자/자기/열/광학/생체적 특성과 그 응용에 대해 강의한다.
디스플레이개론 TFT-LCD, PDP, FED and OLED등 여러 flat panel display에 대한 원리와 최근 기술동향을 파악한다. 특히 amorphous silicon TFT 기술에 대해서 자세하게 다룬다. Active matrix display를 이해하기 위해 fundamental device physics 내용 및 최근 flat panel display인 flexible display 에 대한 소개도 다룬다.
디스플레이공정 대면적 TFT-LCD에 사용되는 아몰퍼스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강의하며, 차세대 TFT재료인 유기반도체 및 advanced TFT의 구조, 제조방법, 전기적 특성을 익힌다.
미래산업과 재료기술 다양한 미래 첨단 산업의 핵심 기술인 재료(소재)기술에 대한 입문 과정으로 교양수준의 기본 개념 강의와 국내외 전문가들의 특강을 병행하여 아직 전공과정에 진입하지 않은 1학년 학생들이 재료공학의 분야에 대한 기대와 올바른 관점을 정립하는 데 필요한 재용을 전달한다.
반도체 소자공정 실습 반도체 소자공정 실습: 반도체 소자공학 실습 과목에서는 반도체 공학에서 필요한 단위공정과 소자측정을 실습한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박막, 식각 및 패터닝 공정을 실습하고, 제작된 반도체 소자 측정 기술을 습득한다. 
반도체공정 반도체 제조시의 기본단위공정에 대하여 배우고 반도체의 디자인과 MEMS 공정에 대하여도 강의한다. 
반도체공정 반도체 제조시의 기본단위공정에 대하여 배우고 반도체의 디자인과 MEMS공정에 대하여도 강의한다.
반도체소자 현대산업의 근간이 되는 반도체소자원리를 이해함으로써 반도체 개발에 기여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본 과목에서는 p-n 접합 다이오드, BJT, MOSFET 등 반도체 주요 소자의 동작원리를 학습한다.
반도체소재개론 이 강의는 반도체 소재의 기본 특성 및 원리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함. 주요 반도체 소재들의 물리적, 전기적 특성을 학습하고, 이를 다양한 기술적 응용에 연결함. 또한 최신 반도체 기술 동향을 통해 산업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구함.
반도체융합 Capstone Design Ⅰ,Ⅱ 반도체 소재/소자/회로/공정 분야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종합적으로 실습하고,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정한 주제를 가지고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결과를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 발표회에서 발표한다. 프로젝트는 팀단위로 이루어지며, 담당교수가 프로젝트의 목표, 계획수립, 구현과정을 학생이 팀 단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분말재료 및 공정 금속분말의 제조, 이론과 실제 선형압축, 소결공정의 이론과 재료의 특성, 분말가공법의 특장점을 탐구한다.
상변태 확산의 기본개념과 특히 최근에 많이 연구되고 있는 상간의 계면과 그의 이동, 그리고 핵생성 및 결정입자성장에 관한 주제를 다루며, 상변태에 관한 지식을 실지로 이용하는 방법들에 관해 공부한다. 본 교과목의 목적은 위의 주제들을 열역학 및 원자운동기구의 기본원리를 사용하여 설명 해석하는데 있다고 하겠다.
세라믹재료개론 세라믹재료의 정의, 미세구조 및 물성 등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목표로 대표적인 세라믹 재료를 응용분야 위주로 다룬다.
신소재공정실습 금속, 세라믹, 폴리머 등 다양한 재료의 합성 및 제작, 열처리공정에 대한 실습을 수행하여 실무적 지식을 습득한다.
신소재공학 단기현장실습1,2
/ 신소재공학 장기현장실습1,2
국내외 산업현장 또는 기관에서 협약에 따라, 현장교육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학점을 인정하는 제도로써, 대학에서 교수한 지식과 학문을 기관, 단체, 연구소, 산업체 등에서 학생들이 실무를 통해 적용능력을 부여하고자 함.
신소재공학콜로키엄 사회에서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재료공학기술 및 응용 분야를 소개하고 최신 학문 트랜드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양한 연구분야를 이루고 있는 학과 교수들의 특강을 통해 전공 학문에 대한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전공에 대한 관심과 만족도를 높힌다. 산업계 재료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외부 전문가 초청을 통해 다양한 진로선택의 정보를 제공하며, 나아가 만족감 높은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국내외 재료 분야 석학의 초청 특강을 통해 학생들의 지적 욕구를 충족함과 동시에 공학자로서의 비전을 제시한다.
신소재분석실습 재료의 기계적, 열적, 전기적, 광학적 물성들에 대한 측정 및 분석 실습을 수행하여 실무적 지식을 습득한다.
에너지재료 대체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변환-저장하는 첨단 기술분야에 있어서 재료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각종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재료의 구조-물성-공정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본 과목에서 다루는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시스템은 태양전지 (solar cell), 리튬이온전지 (Li-ion battery), 수퍼캐패시터 (super capacitor), 연료전지 (fuel cell) 등으로 청정에너지 기술 분야를 이해하고 산업내 재료공학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개발의 트랜드를 학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에너지저장소자특론 전기화학 반응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응용하기 위한 기본지식을 습득한다. 이러한 전기화학적 기초지식을 기반으로 에너지저장소자의 대표적인 응용 분야인 연료전지의 소자 및 장치해석에 대해 구체적으로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부생들이 기존 재료의 성능향상 및 차세대 에너지 재료와 디바이스에 대한 취업/연구시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재료과학Ⅱ 재료공학을 입문하는 학생에게 재료공학 전분야에 대하여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재료공학II에서는 세라믹과 재료의 전자적, 공학적 특성과 자성재료에 대하여 강의한다.
재료과학I 재료의 기초이론과 고상의 구조, 특성, 고체 내부에서의 원자의 규칙 및 불규칙성을 이해시키고 단상금속의 탄, 소성변형 그리고 열처리에 따른 구조 및 성질변화를 다룬다.
재료물리 원자간 결합 및 진동, 전자의 밴드 구조 등의 형성원리와 함께 재료 물성과의 상관관계를 다룬다. 특히 전자재료의 에너지 밴드 다이아그램의 이해를 통해 최근 전자소자의 기본 물성과의 상관관계을 학습한다.
재료분석기기 다양한 재료의 미세구조, 성분분석 및 물성평가에 활용되는 기본적인 분석기기의 원리 및 활용법을 구체적인 사례 위주로 강의함으로써 실험 데이터 해석능력과 미지 재료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능력을 함양토록 함.
재료열역학 열역학의 기본법칙과 용액 및 고용체의 열역학적 성질 등을 이해하고, 상변태에 대한 열역학적 해석을 설명하며 실제 재료에서의 상변태에 대한 기초이론을 이해한다. 
재료화학실험 전공 실험의 가장 첫번째 단계로 실험실 안전, 실험 규칙 및 윤리, 재료 및 화학 시약의 안전한 사용법 등을 교육하고, 재료 합성 공정의 근간이 되는 고상반응, 산염기반응, 산화환원반응, 침전반응 등의 기본화학반응 및 밀도, 점성도, pH 와 같은 물리적 성질의 측정법을 조별 실험/실습을 통하여 학습한다.
전기화학소재개론 에너지 저장 및 변환에 참여하는 소재의 전기화학적 기능 및 성능을 이해하기 위한 전기화학의 기본 원리학습. 에너지 재료의 전기화학적 분석 방법 소개.
창의적 재료설계 프로젝트Ⅰ,Ⅱ 재료공학의 여러 현상을 실험을 통해 적용시키는 과목이다
첨단금속소재 첨단 철강 재료 및 비철재료의 종류, 특성 및 응용을 배우며, 최신 금속소재의 연구 개발 동향 등을 학습한다.
첨단세라믹스 첨단 전자부품세라믹스, 세라믹구조체, 에너지 환경소재, 생체재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고기능성 세라믹 소재의 최신 공정법 및 나노합성법을 소개하고, 과학적 이론에 입각한 공정-물성-응용의 관계를 도출한다.
첨단소재심화실습 열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및 기술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반도체, 디스플레이, 특수광학, 나노, 박막 소재 등 첨단 소재의 필수 요소기술을 강의하고 연구 장비를 활용한 공정 실습을 통해 높은 수준의 현장감 있는 교육을 제공함
표면 및 박막공학 금속재료의 표면처리를 위한 기초이론을 강의하고, 진공 중에서의 물질의 이동, 코팅시 일어나는 도금층과 모재 사이의 상호작용, 표면처리의 실례를 설명한다. 또한 반도체 제조공정인 박막의 제조법 에 대해서 강의한다.
화학기반 소재산업의 이해 최근 전통적인 화학기술 외에 각종 신기술이 도입됨으로 인해 공정 및 가공기술의 발전에 필요한 부품소재 산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교과목에서는 국내외의 핵심 화학기반 소재, 부품산업의 현황 및 발전동향에 대해 알아본다.